와이파이 7(IEEE 802.11be)은 2025년 현재 최대 46 Gbps의 이론 속도와 초저지연(2 ms 이하)을 제공하는 차세대 무선 표준입니다. 본문에서는 핵심 기술 5가지와 실제 업그레이드 타이밍을 정리해 드립니다.
목차
1. 와이파이 7 핵심 기술 5가지
① 320 MHz 초광대역 채널 — 6 GHz 대역에서 160 MHz의 두 배 폭을 묶어 물리 속도 자체를 2×로 키웁니다.
② 4K QAM — 1024 QAM(와이파이 6) 대비 20 % 추가 스루풋.
③ MLO(Multi-Link Operation) — 2.4·5·6 GHz를 동시에 묶어 지연을 분산하고 끊김 없는 핸드오버 제공.
④ MRU & Puncturing — 혼잡 채널을 피해서 남는 스펙트럼만 골라 쓰므로 도시 아파트에서도 속도 유지.
⑤ TSN 레이턴시 최적화 — 실시간 게임·VR 스트리밍을 위해 타임-센시티브 네트워킹을 부분 지원합니다.
2. 칩셋·디바이스 로드맵(2024-2026)
• 라우터 : ASUS RT-BE96U, TP-Link Archer BE900 등 2024년 말 소비자용 상용화.
• 모바일 : Snapdragon 8 Gen 3(2024) → Gen 4(2025)에 FastConnect 7800/7900 모뎀 탑재.
• 노트북·PC : Intel BE200, MediaTek Filogic 380 M.2 모듈이 2025년 상반기부터 대량 공급.
• IoT·XR 기기 : Meta Quest 4·Apple Vision Pro 2 예상(2026) — MLO 기반 저지연 AR/VR.
3. 업그레이드 적정 시기
가정 사용자 — 6E 라우터가 없다면 2025년 말 출시되는 미드레인지 Wi-Fi 7 공유기를 노려보세요. 2.5 GbE 포트가 기본이므로 유선 백홀 환경도 함께 교체하면 체감이 큽니다.
기업·캠퍼스 — 다중 AP 밀집 환경에서 MLO의 로밍 지연 감소 효과가 즉시 나타납니다. 단, 6 GHz DFS 규제 지역은 채널 사용 허가(ANFR, FCC) 확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.
업그레이드 체크리스트 • WAN 회선 2 Gbps 이상? • 노트북·모바일도 Wi-Fi 7 칩셋? • PoE++ 스위치(802.3bt) 대역폭 확보?
FAQ
Q. 와이파이 6E에서 7로 넘어가면 속도가 바로 2배인가요?
A. 320 MHz + 4K QAM + MLO를 모두 활용해야 체감이 큽니다. 기기 중 하나라도 160 MHz만 지원하면 상승 폭이 제한됩니다.
Q. 6 GHz 사용이 아직 금지된 국가인데도 라우터를 사도 되나요?
A. 6 GHz를 막아둔 지역에선 와이파이 7 라우터가 5 GHz·2.4 GHz만 동작하므로 투자 대비 효과가 작습니다. 주파수 해제 일정을 먼저 확인하세요.
맺음말
와이파이 7 업그레이드는 “320 MHz + MLO + 4K QAM” 세 요소를 얼마나 활용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. 장비·서비스·규제 로드맵을 체크해 2025-2026 사이 최적의 교체 시점을 잡아보세요.